기본 거래 구조
  • 거래 참여자
    • 딜러/매니저: 연기금, 운용사, 보험사, 은행, 증권사 등
    • 브로커: 주로 증권사가 담당
  • 일반적 거래 흐름

    매도(딜러/매니저) → 브로커 ← 매수(딜러/매니저)

실제 거래 방식
  • 브로커가 양방향 고객(딜러 또는 매니저)을 직접 연결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
  • K-Bond 메신저의 단체대화방(블커본드, 막무가내 등) 활용
  • 브로커 간 연계 거래 구조:

    매도(딜러/매니저) → 브로커A → [단체대화방] ← 브로커B ← 매수(딜러/매니저)

  • 특징:
    • 브로커 간 수수료 절반씩 분배
    • 한 건의 거래가 예탁원 체결내역에는 최소 2건으로 기록

기본 원칙
  • 매도자 부담 원칙
  • 기본 수수료율: 액면 1만원당 1원 (100억 거래 시 100만원)
예외사항
  • 만기 1년 이하 채권(결제일 기준): 액면 1만원당 0.5원
  • 만기가 짧아질수록 수수료로 인한 YTM 변화가 커져, 브로커와 협의하여 조정 가능

평가 체계의 특징
  • 투명성 제고를 위해 채권 가격을 직접 평가하지 않고 외부 평가기관 활용
  • 3~4개 채권평가사의 평가 가격을 평균하여 사용
  • 회계 목적 및 투자자들의 기준가격으로 활용
  • 해외와의 차이점: 해외는 자체평가 방식 채택
평가 제도의 영향
  • 종가 결정 시점(오후 4시)에 가격 경쟁 발생
  • 크레딧 채권의 경우:
    • 평가가격의 스무딩 현상 발생
    • 실제 거래가격과 평가가격 간 시차 존재

가격 표시 방식
  • YTM 기준 호가
  • 액면가 대비 가격 (액면 100 또는 10,000 기준)
  • 거래는 YTM 확인 후 액면가격으로 전환하여 성사
한국시장의 특징: 단가 절사
예시 1) 통안채 (만기 26.10.2, 통당)

24.12.27 결제 기준(24.12.26 거래)

  • YTM 2.77% → 10070.55원 계산 → 10070원으로 절사 → 실제 YTM 2.773%
  • YTM 2.78% → 10068.84원 계산 → 10068원으로 절사 → 실제 YTM 2.784%
  • YTM 2.79% → 10067.12원 계산 → 10067원으로 절사

1bp 차이가 1원의 가격 차이로 나타남 (듀레이션 1.7 수준)

예시 2) 국고20-1 (만기 25.3.10)
  • YTM 2.79% → 10018.63원 계산 → 10018원으로 절사 → 실제 YTM 2.82%
  • 브로커 수수료(0.5원, 6개월 미만 기준) 반영 시 실질 YTM: 2.846%
  • 전일 종가 기준 거래 시에도 5.6bp 차이 발생
주의사항
  • 거래 전 반드시 YTM별 실제 적용 단가 확인 필요
  • 만기가 짧을수록 단가 절사의 영향이 커짐
  • 듀레이션이 짧은 채권일수록 이 영향이 더욱 중요
  • 매수자에게 유리, 매도자에게 불리한 구조

만기 1년 내외 채권의 호가 방식
  • YTM이 아닌 액면 만원당 단가 기준으로 호가
  • 전일 민평 단가 대비 +1원, +2원 또는 -1원, -2원 등으로 표시
  • 최소 단위: 0.25원
  • 민평 단가의 소수점 이하는 절사 후 시작
  • 예시) 국고20-1 (만기 25.3.10) 거래 케이스
    • 전일 민평금리 2.793% → 단가 10018.57원
    • 전일 민평금리로 거래 시:
      • 10018원으로 절사 → 실제 YTM 2.82%로 상승
      • 따라서 전일 금리(2.793%)로 거래하려면 +0.5원(10018.5원)에 거래 필요
      • 브로커 수수료 감안 시 추가 조정 필요
    • 주의사항: 전일 금리로 거래할 경우, 반드시 단가 확인 후 수정하여 거래
YTM 호가 특징
  • 기본 최소 단위: 0.25bp
  • 소수점 YTM 호가의 특수성:
    • 예시) 통안채 2년(통당)의 경우
      • 2.77% → 10070원 (10070.55원 절사)
      • 2.765% → 10071원 (2.77%와 2.76% 가격의 중간값)
        • 실제 2.765% 계산값: 10071.4원 (0.4원 차이 발생)
      • 2.76% → 10072원 (10072.27원 절사)
  • YTM은 소수점 4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표시 (예: 2.768%, 2.763%)